반응형
Partition
- 하나의 저장장치를 여러 개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분할하는 것을 말한다.
- 파티션마다 다른 파일 시스템이 운영된다.
각 파티션마다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어 서로 다른 버전의 Windows나 Linux를 병행 사용할 경우 유용하다. - 특정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더라도 다른 파티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.
- 필요 파티션만 포맷할 수 있기 때문에 백업과 업그레이드가 편하다.
MBR과 GPT
MBR(Master Boot Record) 기반 파티션 테이블 1
- 구 BIOS 시절 IBM PC XT와 함께 하드디스크가 보급되면서 만들어진 형식이다. 2
- 주소가 32bit여서 최대 용량이 2TiB로 제한된다. 3
- 생성 가능한 주 파티션은 4개이고 확장 파티션을 사용하면 주파티션 3개 + 확장 파티션의 논리 파티션 으로 사용할 수 있다.
GPT(GUID Partition Table)
- 최대 8ZB의용량을 사용할 수 있다. 4
- 생성 가능한 주 파티션이 128개라 굳이 확장 파티션을 만들 필요가 없다.
- UEFI에서는 MBR을 인식하지만 BIOS에서는 GPT를 인식하지 못해 부팅이 불가능하다.
주 파티션 |
|
확장 파티션 |
|
논리 파티션 |
논리 파티션은 12개 이상 생성하지 않는 것을 권고하며 5번 이후의 번호가 붙여짐 |
- MBR은 저장매체의 첫 번째 섹터에 위치하는 512 바이트 크기의 영역이다. 처음 446byte는 Boot Code 영역, 64 바이트는 Partition table 영역, 마지막 2 바이트는 Signature를 나타낸다. [본문으로]
- IBM PC 5150 모델의 업그레이드판으로 1983년 3월 8일에 출시됨. [본문으로]
- 섹터 갯수 = 2^32 * 기본 섹터 크기 2^9(512) = 2 * 2^40. 이보다 더 큰 용량의 디스크를 장착해도 그 이상은 인식하지 못한다. [본문으로]
- 8ZB = 8192EP = 약 800억TB [본문으로]
반응형
'공부 > 등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racle] Oracle 연습문제 1 (1) | 2019.10.29 |
---|---|
RAID (0) | 2019.07.1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