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공부/정보보안

암호 해독/분석(Cryptanalysis) 공격

by Skogkatt의 개인 블로그 2019. 7. 22.
반응형

암호 해독/분석(Cryptanalysis) 공격

  • 암호문으로부터 평문을 찾으려는 시도.
  • 평문의 통계적 성질과 암호에 관한 지식, 장비 등 여러 가지 부대 정보를 이용해 암호문으로부터 평문 혹은 키를 찾아낸다.
  • 암호학에서 암호 해독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암호 방식/알고리즘을 알고 있다는 전제하에 암호 해독을 시도하는 것으로 간주한다.

암호문 단독 공격(Ciphertext Only Attack)

  • 암호 공격자에게 가장 불리한 방법으로 단지 암호문만 가지고 이로부터 평문과 키를 찾는 공격.
  • 평문의 통계적 성질, 문장의 특성 등을 추정하여 해독한다.

기지 평문 공격(Known Plaintext Attack)

  • 공격자가 암호문에 대응하는 일부 평문을 알고 있는 상황에서의 공격.
  • 암호문과 평문의 관계로부터 키나 평문을 추정하여 해독하는 방법이다.
  • AES 등 현대 암호 체계는 거의 기지 평문 공격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, 고전 암호 체계는 대부분 기지 평문 공격에 취약하다.

선택 평문 공격(Chosen Plaintext Attack)

  • 평문을 직접 암호화하여 그 평문에 대한 암호문을 얻을 수 있는 상황에서의 공격.
    즉, 공격자는 직접 암호화를 할 수 있다.
  • 분석하려하는 평문에 해당하는 암호문을 얻어 키를 추정한다

선택 암호문 공격(Chosen Ciphertext Attack)

  • 암호문을 해독하여 그 암호문에 대한 평문을 얻을 수 있는 상황에서의 공격.
    즉, 공격자는 암호문을 복호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.
  • 선택 평문 공격과 유사하지만 훨씬 강한 공격으로 주로 공개키 암호화 방식에 사용된다.
반응형

댓글